Investment | 2023. 4. 20. 21:17
중국 리오프닝 이후 빠른 경기회복을 기대했던 중국은 미국의 공급망 규제 등 영향에 생각보다 더딘 경기회복세를 보이며 정책적인 변화를 주는 모습으로 건설과 인프라 투자 확대 등 내수 부양에 힘을 실어주고 있습니다.
https://www.sedaily.com/NewsView/29O9FW56T2
주요 내용으로 철도, 도로 등 교통 시설과 에너지, 발전시설, 산업단지 등
인프라 투자에 대규모 투자를 진행하여 건설경기 활성화를 통한
내수 경제를 살리기 위한 적극적인 움직임으로 풀이됩니다.
중국 지방정부가 인프라 구축에 투입할 금액은 12조 2000억 위안(약2339조원)으로
미국의 압박에 맞서 기술 자립과 에너지 안보에 초점을 맞춘 투자가 진행될 것으로 보이며,
국내 건설인프라 관련 기업들에게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최근 사명을 변경한 HD현대인프라코어는 중국 현지 내 굴착기 등 건설장비를 생산중이며,
2020년 9월 누적 생산 20만대를 돌파하는 등 이번 대규모 인프라 투자 이슈에
최대 수혜주로 부각되는 기업으로 꾸준히 주목해 보시기 바랍니다.
재무
재무를 보시면 매년 꾸준한 매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영업이익률은 낮은 편에 속하지만 꾸준한 인프라 투자에 따른
실적 모멘텀은 지속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부채비율은 여전히 높은 수준이나 유보율은 조금씩 개선되고 있으며,
안정성은 아쉬우나 실적은 크게 나쁘지 않은 기업으로 판단됩니다.
수급
수급을 보시면 이번 중국의 대규모 인프라 투자를 비롯하여
전세계적인 경기 회복에 따른 기대감에 따른 수혜주로 부각되며
수급은 상당히 양호한 상황으로 메이저 수급의 매수세가 꾸준히 유지된다면
추가적인 주가 상승세를 충분히 노려볼 수 있는 상황으로 판단됩니다.
차트
HD현대인프라코어 일봉차트
HD현대인프라코어 월봉차트
차트를 보시면 코로나 이후 21년 상당히 강한 상승세를 보였으며,
이후 상승분을 대부분 반납하며 깊은 조정이 나왔으나 지난 연말 강한 반등에 성공하며
1차 상승 이후 7,500원 ~ 9,500원 박스권 내에서 움직임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중국발 인프라투자 확대 모멘텀이 지속된다면 충분히 추가 상승이 나올수 있으며,
미국인프라투자(기존 두산밥캣 소형건설기계 신규생산 및 진입), 인도네시아수도이전, 사우디네옴시티 등과
자원개발(리튬,흑연, 코발트등), 방산(현대로템 K2엔진), 엔진 조선, 버스, 발전기,
건설기계엔진(두산밥캣, 현대건설기계), 농기계엔진 등 여러가지 테마와 함께 연관되어 있다고 판단됩니다.
9,500원 구간 돌파시 12,000원 구간 까지 볼 수있는 자리로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