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킨토시’(Macintosh) 탄생 30주년

 

애플은 1984년 1월 24일 출시된 ‘매킨토시’(Macintosh) 탄생 30주년을 기념하는 특설 페이지를 개설했다.

이 페이지에는 첫 번째 매킨토시부터 30년동안 발전해 온 맥을 사용해온 크리에이터들의 추억을 담은 영상이 담겨 있다.

사진과 글로 이루어진 페이지가 마련돼 있는데, 이 페이지는 년도와 매킨토시 기종별로 정리돼 있다. 일종의 과거 매킨토시에 대한 이야기를 해당 맥을 직접 사용해온 크리에이터들의 추억 이야기가 담겨있는 셈이다.

참고로, 첫 번째 매킨토시는 9인치 흑백 브라운관이 탑재된 일체형 컴퓨터였으며, 프로세서는 모토롤라의 MC68000이 탑재되고 메모리 용량은 128KB, 가격은 2495달러 였다.

http://www.apple.com/30-years/

 

코어 i5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하는 4x4인치 사이즈의 시스템

이트론 주식회사(대표 노갑성, http://www.e-trons.co.kr)는 인텔의 새로운 하즈웰 아키텍처 기반의 인텔 코어 i5 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하는 4x4인치 사이즈의 시스템, 인텔 NUC D54250WYK/WYKH를 출시한다.

인텔 NUC는 4x4인치(11.6cmx11.2cm)에 인텔 i5-4250U 프로세서를 기반으로하는 시스템으로 Intel HD5000 그래픽코어를 내장하고 4개의 USB 3.0 포트는 전면과 후면에 각각 두개씩 위치하고 있으며 10/100/1000Mbps 기가비트랜 포트를 내장하고 있다. 또한 듀얼 디스플레이 구성을 위한 Mini HDMI, Mini DisplayPort를 각각 한개씩 지원한다.

한편, 이번에 함께 출시되는 인텔 NUC D54250WYKH 모델은 인텔 NUC D54250WYK와 동일한 스펙을 가지고 있지만 2.5inch SSD/HDD 장착이 가능한 모델이다.



인텔 NUC D54250WYK/WYKH 모델은 인텔 i5-4250U 프로세서를 통한 HD5000 내장 그래픽 코어를 통해 HD 동영상 감상 및 가속 기능을 지원하며 Mini HDMI, Mini DisplayPort를 통해 듀얼 디스플레이를 지원하여 사무용이나 병원 및 관공서, HTPC 구성에 용이하다.

내부에 PCI-Express Half-Mini Slot x 1, PCI-Express Full-Mini Slot x 1, SATA3.0 포트 x 1을 가지고 있어 M-SATA 기반의 SSD 및 무선 네트워크 카드 설치가 가능하여 무선/Bluetooth 모듈 설치를 통해 WiDi 및 외부 무선 장치와 원활하게 연결할 수 있다.

4x4인치(11.6cmx11.2cm)의 작은 사이즈임에도 인텔 하즈웰 프로세서를 통한 강력한 성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VESA 마운트을 통해 모니터나 TV에 장착이 가능하여 별도의 설치 공간이 필요없어 협소한 공간에 쉽게 설치가 가능하다.

한편, 이트론 주식회사는 이번에 출시한 '인텔 NUC' 제품에 대해 3년 무상 A/S 기간을 보증하고 있다. 이에 대한 A/S는 이트론(인텔 메인보드 고객센터 : 02-704-6780)를 통해 서비스되고 있다.

'Review' 카테고리의 다른 글

Apple iMac 2007년 분해  (0) 2014.02.06
애플 맥미니 분해기  (0) 2014.02.06
Intel/AMD/VIA CPU 코드네임 일람표  (0) 2014.02.06
삼성전자가 공급한 부품 가격이 76.25달러로  (0) 2014.02.06
삼보컴퓨터 올인원 AL-101  (0) 2014.02.05

ZTE 조립식 스마트폰

 

 

모토로라에 이어 ZTE가 모듈 조립형 스마트폰이 공개됐다.

모듈 조립형 스마트폰은 카메라, 배터리, CPU, GPU, 램(RAM), 롬(ROM) 등의 모듈을 소비자가 직접 일일이 따로 구매해 조립하는 방식의 스마트폰이며, 기존 제조사가 모든 모듈을 수급, 제작해 조립한 완제품과는 완전히 다른 개념의 제품이다.


ZTE 측은 에코 모비어스의 장점으로 소비자의 자율성과 환경 오염의 완화 등을 내세우고 있다.

 

 

카메라 기능이 특별히 좋아야 한다고 생각한다면 카메라 모듈만 교체하면 되는 것이기에 소비자 취향을 즉각 반영하기 쉽고 불필요한 기기 교체가 이뤄지지 않아 산업 폐기물도 줄일 수 있다.

관건은 얼마나 개선된 모습, 다양한 스펙의 모듈, 생태계를 충분히 꾸리고, 동시에 제품 완성도를 높이는 것이 성패를 좌우할 것으로 전망된다.